본문 바로가기

금융126

금융위기 1년..은행들 "교훈도 얻었다" 금융위기 1년..은행들 "교훈도 얻었다" | 기사입력 2009-09-02 06:07 (서울=연합뉴스) 조재영 기자 = "기본과 원칙을 지켜야 한다" 국민, 우리, 신한, 하나, 외환은행 등 5대 은행의 부행장들이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뼈저리게 느낀 교훈 중 하나다. 2일 연합뉴스가 금융위기 1년을 맞아 5개 은행의 전략 담당 부행장을 대상으로 위기를 겪은 소회와 교훈 등을 들어본 결과 대부분이 `기본과 원칙으로 돌아가 은행 고유 기능에 충실해야 한다' 점을 배웠다고 답했다. ◇"외화유동성.평판 악화..가장 힘든 기억" 5명의 부행장들은 모두 금융위기로 인해 가장 어려웠던 점으로 외화유동성 악화를 꼽았다. 하나은행 김병호 부행장은 "세계 금융시장 불안과 환율 급변과 같은 통제하기 어려운 외부 충격으로.. 2009. 10. 25.
덩치 키우려다 'BIS 늪'에 빠진 저축은행 덩치 키우려다 'BIS 늪'에 빠진 저축은행 조회 : 1306 저축은행들의 자본건전성에 빨간불이 켜졌다. 연체율 상승과 수익성 추락으로 9개 중소형 저축은행이 금융당국으로부터 자본확충 권고를 받았으며 대형 저축은행마저 우량 저축은행 대열에서 탈락할 위기에 처했다. 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작년 말 현재 자산 규모 1~5위 저축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금감원의 우량 저축은행 기준인 8% 아래로 떨어지거나 8% 초반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 1위인 솔로몬저축은행의 BIS비율은 2007년 말 9.06%에서 작년 말 8.07%로 낮아졌고,같은 기간 부산저축은행과 토마토저축은행의 BIS비율도 9.53%에서 8.21%로,8.35%에서 8.07%로 각각 떨어졌다. 제일저축은행과 HK저.. 2009. 10. 25.
하반기 금융권 최대 화두는 '서민 금융' 하반기 금융권 최대 화두는 '서민 금융' 저소득ㆍ저신용자 은행 문턱 갈수록 낮아져 나도 한마디 조슬기 기자 (banana99@e-today.co.kr) 2009-07-24 13:03:50 올해 하반기 금융권 최대 화두는 다름 아닌 '서민 금융'이 될 전망이다. 이는 금융감독당국이 하반기 주요 금융정책 과제 가운데 하나인 서민 금융 활성화에 팔을 걷어부쳤기 때문이다. 금융감독당국은 최근 서민들을 제도권 금융시장으로 끌어 들이려는 '친 서민 금융' 행보에 적극 나서며 서민들의 경제 안정을 위해 하반기에도 보다 적극적인 금융 지원에 나설 것임을 분명히 했다. 일례로 진동수 금융위원장은 지난 20일 취임 6개월을 맞아 가진 기자간담회를 통해 "우리나라에 적합한 소액 서민 금융 제도의 개발 및 정착을 추진하고 기.. 2009. 10. 25.
[은행 해외진출 패턴이 바뀐다] (1) M&A로 현지 시장장악 … 국민銀, 카자흐 1조 투입 [은행 해외진출 패턴이 바뀐다] (1) M&A로 현지 시장장악 … 국민銀, 카자흐 1조 투입 | 기사입력 2008-05-05 18:31 | 최종수정 2008-05-06 09:57 은행의 해외 진출 패턴이 바뀌고 있다. 사무소→지점→현지법인의 수순을 밟아가며 수년에 걸쳐 차근차근 뿌리를 내리던 방식에서 현지 은행 인수.합병(M&A)을 통해 단번에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카자흐스탄 BCC(Bank CenterCredit)에 1조원을 투입,지분 50%를 확보한 국민은행이 대표적 사례.은행들은 중국에선 철저한 현지화로 중산층 이상 고객들을 공략하고 있다. 또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은 홍콩에 IB센터를 구축,골드만삭스 씨티그룹 등처럼 대규모 글로벌 투자를 준비하고 있다. 최근 들어 속도를 내고 있는 은행들의 해외 진.. 2009. 10. 25.
자통법이 뭐길래… 국내 자본시장이 싹 바뀐다고? [Make Money] 자통법이 뭐길래… 국내 자본시장이 싹 바뀐다고? | 기사입력 2009-01-16 18:30 금융투자상품 칸막이 사라져…대형 투자은행(IB) 탄생 예고 국내 자본시장에 대대적인 지각변동을 불러올 자본시장통합법(이하 자통법)이 내달 4일 시행된다. 자통법 개정안이 지난 13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자통법을 대비한 증권업계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이와 맞춰 각종 제도와 명칭을 비롯해 투자환경도 대폭 바뀌게 된다. 자통법 시행까지 보름여밖에 남지 않았지만 아직도 자통법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오해를 하고 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 자통법은 무엇인지 그리고 이에 맞춰 금융산업과 투자환경은 어떻게 변하는지 제대로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 자통법이란 국내 자본시장과 관련된 금융.. 2009. 10. 25.
금산법 금산법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안의 줄임말. 산업자본의 금융자본의 지배를 막기위한 법으로 구체적으로 대기업이의 금융사를 이용한 경영권 유지나 승계등의 구조적인 문제에 제동을 걸기 위한 제도이다. 금산법 24조에 따르면 금융계열사가 비금융계열사의 의결권 있는 주식을 단독으로 20% 이상, 또는 다른 계열사와 합쳐 5%이상 소유하는 경우 금융감독위원회의 승인을 받도록 하고 있다. 97년 3월에 처음 신설되었고, 이후 2000년 1월 21일 개정안을 만들었다. 하지만 대형 금융기관을 인수할 대규모 토종 자본이 전무한데다 외국계 자본의 국내 금융기관 잠식이 확대되면서 금산분리 완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출처 : http://s.hankyung.com/dic) '금산분리' 어떤 게 완화 되었나? .. 2009. 10. 25.
아직 출구전략 논의는 시기상조 아직 출구전략 논의는 시기상조 박덕배 현대경제연구원 전문연구위원 ㅣ기사전달ㅣ목록보기ㅣ인쇄하기ㅣ돌아가기ㅣ 상반기 원화약세와 금융완화 효과는 하반기 지속 곤란 아직은 정책 효과일 뿐 실질경기 회복 징후는 안보여 금년 들어 글로벌 금융시장이 진정되면서 국내 금융시장도 빠르게 안정되어 가고 있다. 금융위기가 한창일 때 뒤바꿔버린 KOSPI와 원/달러환율 수치도 도로 제자리를 찾아가고 있다. 10월 초 현재 KOSPI는 1,600대로, 원/달러환율은 1,100원대로 내려갔다. 외환보유액 역시 경상수지 흑자, 외국인 자금 유입 등으로 3월부터 7개월 연속 증가하면서 금융위기 이전 수준으로 복귀하였다. 한편 실물경제도 빠르게 개선되고 있다. 금년 1월 20%대까지 하락한 제조업 생산의 7월 이후 증가세로 전환되고, .. 2009. 10. 25.
가계부채 급증 막으려면 (DTI규제강화) [송현 칼럼/10월 12일] 가계부채 급증 막으려면 | 기사입력 2009-10-11 18:36 다음주부터 수도권에서는 은행뿐 아니라 보험사ㆍ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에서도 주택을 담보로 대출 받을 수 있는 금액이 줄어든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신규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총부채상환비율(DTIㆍ채무상환 능력을 고려해 대출금 상한을 제한하는) 규제를 강화한 것이다. 올 상반기에 경기가 침체한 가운데도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대출이 크게 늘어 부동산투기 가능성과 금융기관ㆍ가계 부실화 우려에 따른 조치다. 올 상반기 경제성장률은 -3.4%로 경기가 위축됐음에도 불구하고 금융기관의 가계대출은 7.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대출의 증가액도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소득은 줄었는데 가계대출은 크게 늘어 채무.. 2009. 10. 25.
[내년 경제 4대 관전포인트] ① 출구전략은 기정사실..“언제냐”가 문제 [내년 경제 4대 관전포인트] ① 출구전략은 기정사실..“언제냐”가 문제 | 기사입력 2009-10-20 17:33 | 최종수정 2009-10-20 22:16 내년 한국경제를 걱정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우리 경제가 올해는 플러스 성장 가능성도 점쳐질 만큼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내년에는 △'출구전략' 시행 △부양책 소진에 따른 내수 위축 △환율 하락으로 인한 기업 채산성 악화 △자산시장 거품 붕괴 가능성 등을 조심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내년 우리 경제의 변수에 관심이 모아지는 이유다. ■'출구전략' 따른 충격 불가피 내년 최대의 화두는 단연 '출구전략'의 시행 시점이다. 한 민간경제연구소 관계자는 "출구전략의 실행유무에 상관 없이 내년에는 올해에 비해 경기회복 속도가 꺾일 것이 분명하.. 2009. 10. 25.
금리 인상, 인하에 따른 대한민국 경제의 변화 [ERL 6주차] 페이퍼 금리 인상, 인하에 따른 대한민국 경제의 변화 이성태 한국은행 총재가 10일 멀지 않은 시점에 기준금리를 인상하겠다는 뜻을 비치자 시장금리가 큰 폭으로 뛰었다. 이처럼 금리의 변동은 매일 중요한 뉴스로 보도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경제 상황을 좌지우지 할 만큼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렇다면 금리 인상 혹은 인하가 우리나라 경제에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끼칠지 생각해보자. -기사 ‘한은, 연내 금리인상 시사…채권금리 급등’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9091031671&intype=1 많은 국가들이 제로금리를 유지하는 상황에서 이성태 한국은행 총재의 기준 금리 인상 계획 발표는 많은 논란을 야기했다. 금리 .. 2009. 10.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