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J's Box1532

제시카 닮은 티아라 효민 성형 전 모습 티아라 효민 과거 사진 티아라 효민 성형전 제시카 닮은 티아라 효민 ? 얼마전에 예쁘다고 나온거 같던데... 헉! 요즘은 고등학생도 성형하는구나... 출처 : http://tv.msn.co.kr/enter/starholic/stphoto/star_view.html?_Number=47212 2009. 10. 5.
변리사 시험을 준비하는 분들께 - 거의 최종 버젼 회사에서 휴가 받고 왔습니다. 휴가때는 좀 시간을 투입해서 특허, 상표 끝장내는게 목표입니다. 사실 목표는 수험생들 다 한다는 하루 15시간 공부해 보기가 목표입니다. 그러나 공부는 낼 부터 하면 된다는 생각으로 뿔언니식 변리사 1차 시험 준비 방법을 써보겠습니다. 뭐 이미 1차를 합격하시고 이번에 2차 시험을 보신 분들이나, 이미 경험이 있으신 분들은 웃을지 모르겠지만, 세상의 모든 것들은 변증법적으로 진보되어 간다는 생각으로 제 생각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의 버젼들은 변증법적 과정으로 생각하시고 알아서 답을 찾으시길. 각자의 목표나 방법은 항상 옳으며, 늘 실천이 문제가 됩니다. 누구의 관점으로 공부하시든 실천을 할 수 있다면 합격하는 것은 문제 없습니다. 1. 민법 기본서 - 자신이 들을 강의.. 2009. 10. 5.
로베르토 바조, 이카로스의 꿈을 꾼 사나이 이 글은 www.dvdprime.com 의 axl18 님의 글입니다. ------------------------------------------------------------------------------------------------ 비첸차에서 플레이를 하는 로베르토 바조 from Paran 블로거 'Calcio'님 이야기의 시작은 14세에 3부 리그 비첸차에 스카우트된 이후입니다. 당시 세리아 규정에 따라 16세가 됐던 83/84시즌에 드디어 시합에 나서게 됩니다. 물론 쉽진 않았습니다. 그의 커리어가 끝나는 시점까지 지긋지긋하게 쫓아다닌 부상이란 악령이 16세가 된 'Roberto BAGGIO'를 엄습했으니까요. 16세가 되는 순간 왼쪽 다리의 반월판을 부상당합니다. 시즌이 끝나기 전에 간신.. 2009. 10. 5.
언어유추 낙관 : 비관 = 추상 : 구체 봄 : 늦가을 = 모내기 : 김장 피아노 : 건반 = 전화 : 다이얼 사장 : 사원 = 교장 : 교사 연필 : 지우게 = 불 : 소화기 교량 : 연결 = 발전소 : 생산 스키 : 눈 = 배 : 물 물 : 기름 = 태양 : 달 질주 : 속도 = 다이어트 : 몸무게 자물쇠 : 열쇠 = 문제 : 정답 스파이 : 유출 = 경찰 : 유지 벼 : 쌀 = 아기 : 어른 우물 : 깊다 = 산 : 높다 알루미늄 : 금속 = 배추 : 야채 형사 : 수사 = 우체부 : 배달 청취자 : 청취 = 사회자 : 진행 연필 : 종이 = 액자 : 그림 국가 : 국기 = 신문 : 기사 합격 : 낙방 = 성공 : 실패 짚신 : 비석 = 지푸라기 : 돌 가을 : 여름 = 국화 : 사루비아 한니발 : 카르타고.. 2009. 10. 5.
혼동되는 맞춤법 & 표준어 가냘픈 가르마 : 가름마 X 갹출하다 강낭콩 걸맞은 게시판 게양대 고깔 곰곰이 곱빼기 구태여 구레나룻 굳이 : 구지 X 귀먹다 귀때기 귓밥 괴팍하다 그램 : 그람 X 금세 기찻길 깊숙이 객쩍다 겨우살이 귀걸이 까다로워 깍듯이 깍쟁이 깡충깡충 껍질째 먹었다 깨끗이 끄나풀 끄트머리 끄떡없다 끔찍이 끼어들다 꼭두각시 나룻배 나무라다 나뭇가지 나무꾼 나팔꽃 낙지볶음 날라리 날짜 냠냠거리다 납작하다 넉넉지 널빤지 널따랗다 : 넓다랗다 X 녘 느지막하다 늠름하다 늴리리 : 닐리리 X 뇌졸중 : 뇌졸증 X 닦달하다 다달이 : 달달이 X 대가 : 댓가 X 덮인 뒤꿈치 뒤처리 뒤편 담배꽁초 담쟁이 덩굴 덮여 있다 : 덮혀 있다 X 돌멩이 : 돌맹이 X 따뜻이 딱따구리 똬리 떠들썩한 떡볶이 뚝배기 띄엄띄엄 맞추다 맞히다 .. 2009. 10. 5.
동의어 모음 가공(架空) : 허구(虛構) 가련(可憐) : 측은(惻隱) 각별(恪別) : 특별(特別) 각오(覺悟) : 결심(決心) 간난(艱難) : 고초(苦楚) 몹시 힘들고 고생스러움 간병(看病) : 간호(看護) 간주(看做) : 치부(置簿) 갈등(葛藤) : 알력(軋轢) 서로 의견이 달라 사이가 안 좋거나 충돌하는 것 감염(感染) : 전염(傳染) 개량(改良) : 개선(改善) 개전(改悛) : 반성(反省) 잘못을 뉘우치고 마음을 바르게 고쳐먹음 거부(拒否) : 거절(拒絶) 검약(儉約) : 절약(節約) 격려(激勵) : 고무(鼓舞) 결의(決意) : 결심(決心) 결점(缺點) : 단점(短點) 결핍(缺乏) : 부족(不足) 경험(經驗) : 체험(體驗) 계획(計劃) : 의도(意圖) 고국(故國) : 조국(祖國) 고무(鼓舞) : 고취(鼓吹) .. 2009. 10. 5.
나이를 나타내는 한자어 나이를 나타내는 한자어 * 10세 : 충년(沖年) 10세 안팎의 어린이 * 15세 : 지학(志學) 15세가 되어 학문에 뜻을 둠 (논어) * 20세 : 방년(芳年), 묘령(妙齡) → 여자 20세 안팎 약관(弱冠) 남자 20세 → 남자가 스무 살에 관례를 한다는 뜻 * 30세 : 이립(而立) 모든 기초를 세우는 나이 (논어) * 40세 : 불혹(不惑) 세상일에 흔들리지 않음 (논어) * 48세 : 상수(桑壽) 상(桑)자를 십(十)이 네 개와 팔(八)이 하나인 글자로 파자(破字)하여 48세 * 50세 : 지명(知命), 지천명(知天命) 천명(天命)을 알았다고 한 데서 온 말(논어) * 60세 : 이순(耳順) 인생에 경륜이 쌓이고 사려와 판단이 성숙하여 남의 말을 순순히 받아들일 수 있었다고 한 데서 나온 말 .. 2009. 10. 5.
토익독해 공식! 공식 1 : 의견 차이를 나타내는 논쟁 방식의 글에서 저자가 기존 이론을 공격할 때 main idea / primary purpose 문제의 답은 correct, criticize, doubt, challenge, attack, counter, suggest an alternative to a traditional hypothesis, suggest a significant modification 등이 포함된 보기이다. 공식 2 : 의견 차이를 나타내는 논쟁 방식의 글에서 저자가 아닌 다른 사람이 기존 이론을 공격할 때 저자는 객관적으로 기존이론과 새 이론을 논한다. 이 때, main idea / primary purpose 문제의 답은 discuss가 포함된 보기이다. 공식 3 : 자연 현상이나 사회 .. 2009. 10. 5.
토익 * 각 파트별 공략법 - 고득점 필수 포인트!! * 각 파트별 공략법 - 고득점 필수 포인트!! 파트1 Part 1(10문항)에서는 사진이 주어지면, 선택지 4개중에 그 사진을 가장 잘 묘사한 문장을 고르는 것이다 . Part 1에서 주어지는 선택지는 주어와 동사 하나씩으로 구성된 간단한 문장들만 사용하여 응시자들의 듣기 능력을 평가하므로, 다른 파트와 비교했을때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가장 낮은 파트이다 . 따라서, Part 1은 반드시 만점을 받는다는 목표로 잡아야 한다. 1) 사진에 나타나 있는 상황과 가장 가깝게 묘사되어 있는 문장이 정답이 된다. - 최근 파트1에서는 사진과 정확하게 일치하지는 않지만 사진 상황과 가장 유사한 표현이 정답이 되는 경우들이 증가 하고 있다. 2) 사진 속 인물의 동작 및 사물이 다양한 어휘로 바뀌어 표현된다. - 최.. 2009. 10. 5.
[토익초보필독]▶ 토익 TOEIC 초급자를 위한 시작 법 [토익초보필독]▶ 토익 TOEIC 초급자를 위한 시작 법 토익을 처음 시작하셔서 무엇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갈피를 못 잡는 분들을 위한 몇 가지 조언입니다. 언어학습과 마찬가지로 토익학습에는 몇 가지 단계가 있습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겠지만, 대원칙 몇 가지를 함께 생각해보죠. 우선 토익을 [영어]라는 언어로 바라보는 시각이 필요합니다.토익은 [실용영어]라는 관점에서 매우 완성도가 높은 시험입니다. 모두 객관식이기 때문에 무언가 2%부족한 것이 사실이지만요. ^^ 효과적인 토익에 대한 접근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숙지하셔야 합니다. 1. 문법에 대한 기본개념을 정리해야 합니다. 이때 주의할 것은 우리말로 개념을 정리하는 것이 아니라 영어로 된 문장을 통해서 개념을 이해하고 .. 2009. 10.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