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J's 영어 이야기

인터넷 사전과 영자신문을 활용한 영어독해 능력증진 방법

by forzalazio 2010. 1. 27.



야후미니사전과 영자신문을 활용한 영어독해 능력증진 방법




Ⅰ. 서론


현재 고등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치고 있는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영어의 네 기능을 고루 가르쳐야 함은 말할 필요가 없다. 동시에 그들이 당장에 필요한 듣기와 읽기는 더욱 치중해야 함도 또한 중요하다. 듣기와 읽기를 통한 충분한 입력이 말하기와 쓰기의 선행단계이고 사춘기에 이르러 왕성한 인지적 발달을 고려한다면, 고등학생의 경우 읽기를 통해 풍부한 입력이 가능한 것이다. 더욱이 '94학년도 대학입시부터 실시된 대학수학 능력시험은 이러한 듣기와 읽기 능력을 측정하는 방향으로 출제되고 있다. 아울러 이 시험은 고등학교의 특정 교과목별 시험이 아니라 여러 교과목의 공통적인 목표와 내용을 종합한 통합 교과적 소재에서 출제되고, 현행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추어 출제될 뿐이지 교과서 내용에 한정하여 출제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출제에 이용되는 자료는 교과서 내외의 자료를 활용하는 범교과적인 것이다.

이러한 실정을 고려하면 현행 교과서만으로는 읽기 연습이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학생 자신의 읽기 욕구를 충족시키고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당면한 입시에 대비하기 위한 읽기 자료를 교사는 제공해야 한다.

이는 기존 교재를 다른 읽기 교재로 교체하자는 것은 분명 아니다. 일찍이 Brown(1994: 145)이 지적한 바도 있지만, 가끔 교사는 훌륭한 교재를 만들거나 선택하겠다는 열정에서 학교의 교육과정에서 주어진 교재를 소홀히 하고 교재의 유익함을 보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 논문에서도 새로운 교재를 만들겠다는 부담보다도 기존 교재와 함께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영자신문을 수업시간에 활용하는 최소한의 부담을 갖자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문의 구조와 특징, 교재로서의 우수성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영자신문에 쓰이는 독특한 신문영어 표현과 영자신문의 구성, 영자 신문 해독의 기본방향을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고등학교 교실상황에서 영자신문을 실제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그 효과도 알아보고자 한다.


1.1 신문 활용 교육(NIE: Newspaper In Education)이란?

1955년 미국의 Iowa주 The Des Moines Register 신문이 미국교육협회와 협력하여, 신문을 학교교육의 교재로 활용하기 시작하면서 생겨난 용어이다.

"NIE란 신문을 가르치고 신문으로 가르치자"는 교육적 시도이다. 즉 '신문을 친숙하게 하고 학습에 활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높이는 프로그램'이 바로 NIE이다. 이는 '살아 있는 교과서(living textbook)'인 신문을 활용하여 열린교육, 21세기에 걸맞은 정보화 교육을 하자는 뜻이다.

미국의 일간지인 News and Record의 NIE 연구팀은 NIE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면서, 한마디로 '신문을 교실에서 규칙적으로 사용하는 것' 이라고 정의한다.


"Newspaper in Education, often called by its initials 'NIE,' in simple terms does exactly what its name says: It is newspapers taking an active role in the education of children. Newspaper in Education's main avenue to reach children has been the school classroom. The philosophy of Newspaper in Education is based on the regular use of the newspaper in the classroom, … Today, Newspaper in Education is an international program, with over 750 newspapers in the United States active in NIE."


최근의 NIE는 교사와 신문사가 서로 긴밀하게 연계하여 체계적이며 전문적으로 하는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시대 변화에 걸맞은 교육을 할 수 있도록 신문매체의 특성과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자는 교육계의 필요와, 영상매체의 등장으로 신문과 같은 활자 매체가 점차 외면되는 현실에서 미래의 독자를 확보하려는 신문사의 전략이 맞아떨어진 결과로 볼 수도 있다. 따라서 NIE는 예전의 신문 활용 학습과 구별하여 '신문을 학교 수업의 자료로 이용하기 위해 신문사와 학교의 교사가 협력하는 신문의 교육적 활용 프로그램'으로 정의하기도 한다.


1.2 신문 활용 교육의 목적

과연 신문이 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때, NIE의 목적은 무엇이며, 어떤 효과를 얻을 수 있는지, 또 왜 필요한지에 대한 좀 더 실질적인 예를 살펴보자.

미국의 일간지인 News and Record의 NIE 연구팀은 NIE의 목적을 다음 세 가지로 요약하고 있다.


1) Encourage reading

2) Underscore the responsibilities of citizenship

3) Foster a daily newspaper reading habit


이중에서 현실적으로 읽기, 특히 신문 읽기 습관은 수업 시간에 신문을 활용함으로써 쉽게 길러줄 수 있을 것이다. 우선 딱딱한 교과서에서 벗어나 다양하고 유익한 정보가 있고, 손쉽게 구할 수 있고, 그들과 생각을 같이 하는 독자들의 견해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영자신문을 읽을 때에는 수업시간에, 또는 학생 스스로 학습한 표현을 직접 접할 수 있어, 만족감과 성취감을 더 할 수 있고 따라서 지속적인 읽기 활동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훌륭한 민주시민의 자질을 갖추는 것은 이러한 활동에 부수적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일 것이다.

미국의 또 다른 일간지인 The Tribune은 구체적으로 NIE의 효과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1) Develop motor and classification skills with cutting, pasting, and organizing content

2) Teach the alphabet, numbers, and shapes with headlines, articles, and ads

3) Build vocabulary with crossword puzzles and word games

4) Improve reading and writing skills with all content and analysis of content

5) Sharpen math and problem-solving skills with sports statistics, stock market listings, and retail ads

6) Increase weather and geography interest with weather maps and sports data

7) Cultivate critical thinking and writing skills with analysis of local, national and world news, political cartoons, and editorials

8) Clarify and develop decision making and life skills through human interest stories, advice columns, and business news

9) Practice and develop wise consumerism with classified and retail ads (1998)


영자신문인 경우, 위의 효과를 크게 학생의 수준, 자료의 성격, 활용방법의 측면으로 분류해서 생각할 수 있다. 즉,

1) a, b, c는 저학년 학생들에게서 기대할 수 있는 효과이고,

2) d를 위해서는 교사가 읽은 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묻는 문제 (comprehension check up)에 구두로 답하거나 직접 써 보게 함으로써 (cloze test) 활용할 수 있고,

3) e, f, i는 교과서에서 쉽게 접할 수 없는 자료들이지만 진정성 (authenticity)을 갖추어서 도움이 되고,

4) g, h를 통해 학생들은 비판적 사고와 인간에 대한 이해력을 기르게 된다.

분명히 사고력이나 이해력이 빠른 학생들에게는 NIE는 신선하고 생동감 있는 학습활동이겠지만, 능력이 떨어지는 학생들에게는 교과서 내용도 이해가 어려운 데 부가적인 학습과 새로운 심리적 부담으로 작용할 수가 있다. 교사는 이러한 점에 유의해서 학생들의 수준차를 고려하며 다양하고 체계적으로 수업을 전개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준별 학급편성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라면 기본활동과 심화활동으로 나누어서 진행하거나, 난이도에 따른 자료를 별도로 준비할 수 있다.


Ⅱ. 신문 활용 교육의 개요


2.1 신문의 구조

거의 모든 신문은 공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외형상의 구조를 갖추고 있다. 제호, 판수, 등록번호 및 시기, 발행일, 호수, 표제, 리드기사, 사진과 사진설명, 기획기사, 지면안내, 광고, 기타(매일 고정적으로 실리는 고정물: 사설, 각종칼럼, 시사만화, TV 프로그램, 일기예보, 외국어교실, 연재소설 등). 이중에서 표제, 리드기사, 사진과 사진설명, 광고, 시사만화, TV 프로그램 등은 직접 수업 시간에 교재로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NIE에 활용하는 신문지면은 사회면(33%), 종합면(24%), 스포츠면(11%), 문화면(10%), 광고(9%), 경제면(5%)이라고 국내의 한 일간지는 소개하고 있다.


2.2 교재로서의 우수성

Brown은 지난 20년간 외국어교수법에서의 새로운 물결은 의사소통 언어 교수법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으로서, 읽기에 대해서는 '진정성있는'(authentic) 읽기 자료의 사용을 주장했다.(1994) Canale과 Swain (1980), Bachman(1990)은 언어능력을 정의하는 데 있어서, 언어사용에서의 맥락(contexts)과 의사소통 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을 중시하는 쪽으로 확대시켰다. 특히, Bachman은 사회언어학적 능력(sociolinguistic competence)이 없이는 언어사용을 정확히 이해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신문기사는 진정성 있는 읽기 자료로서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언어학적 측면(politeness, formality, metaphor, register, culture 등)을 고려하더라도 가장 적합하고 용이한 교재이다. 특히, 독자의 투고란이나 오피니언란에서 각계 각층의 의견, 표현, 전문용어, 은어, 방언 등을 접할 수 있다.

한편, 신문기사는 쓰기 능력 증진을 위한 학습교재로도 사용될 수 있다. 영어로 쓰기 능력을 측정한다고 할 때, 간단한 문장의 작문 능력에서부터 논리적·비판적 사고, 사회현상에 대한 이해 및 가치관, 광범위한 지식을 바탕으로 하는 논술능력을 측정하는 수준까지 생각할 수 있다. 이 때, 신문의 사설이나 기사는 쓰기를 위한 모형이 될 뿐만 아니라, 최두찬은 쓰기를 위한 풍부한 입력 자료를 신문에서 "매일 손쉽게 구할 수 있고, 사회적 문제를 다루며 교과서에 나와 있는 이론과 관련지어 생각할 수 있다."(1997: 378-9)고 했다. 현재로서는 쓰기 능력을 제대로 측정 않고 있지만, 앞으로 수행평가 등, 각종 평가에서 측정할 수가 있다. 이때, 신문기사는 영어로 써 나가는 과정에서도, 가장 적확한 문법, 상황에 맞고도 풍부한 어휘 선택,신조어와 약어, 6하 원칙에 입각하여 정확한 의사 전달 능력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신문이 사회를 그대로 반영하는 최선의 정보원이며, 다양한 숫자의 활용, 정확한 문장 구성, 또 가지각색의 그래프의 활용 등, 살아있는 교재로서의 가치가 있기는 하지만, 신문이 교육과정이나 교과서를 대체할 수 없다. 신문과 교과서는 뚜렷한 차이를 지니고 있고, 원래가 동일한 목적을 위해 생겨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Ⅲ. 영자신문을 활용한 독해능력 증진방법


3.1 읽기 자료로서의 영자신문

주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국내의 영자신문을, 입시준비와 함께 학생들에게 흥미와 동기 유발을 위한 진정한 읽기 학습자료(authentic reading material)로서 직접 수업에 활용할 수 있다. 영자신문을 읽기 자료로 활용하는 문제에 앞서, 읽기의 중요성에 대한 몇몇 사람들의 견해를 살펴보자. 임병빈은 "우리나라 대학생의 64% 정도가 영어의 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 등 네 기능 중에서 읽기가 가장 중요한 기능이다"(1993: 94)라고 했고, 소광섭은 "199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역에서 68%정도의 문항이 읽기 능력을 측정하였다"(1997: 65)라고 지적하면서 출제 경향을 분석했다. 권용수도 "실용적인 면으로 볼 때 장차 외국인과 의사소통이 필요한 사람은 소수이고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대학수학능력시험 및 각종시험에 대비하여 영어 읽기의 필요성을 느낀다"(1998: 47)라고 읽기의 필요성을 강조했고, 황지현은 "우리 나라와 같은 EFL상황에서 영어독해능력의 신장이 강력히 요구되나 우리의 교육 현실은 획일적인 교육과정에 따라 학생수준을 고려하지 않은 교과서를 사용함으로써 특히 학력 수준이 낮은 실업계 학생들의 독해학습을 어렵게 하고 있다"(1998: 1)면서 현행 교과서의 읽기 교재로서의 부족한 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런 현실에서 영자신문은 읽기 교재로서 타당성이 인정된다.

국내 영자신문의 기사가 수업에 적절한 교재가 될 수 있는 이유 중의 하나는 무엇보다도 우리가 바로 주변에서 접하는 사건들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다는 데 있다. 독해의 속도를 결정짓는 요인 중의 하나는 글 주제에 대한 어느 정도의 배경지식(background or prior knowledge)을 가지고 있느냐 하는 것이다. 외국기자들이나 전문가들이 쓴 보고서나 기사를 보면 뭔가 다르고 이해하는 데도 어려움이 있다. 그것은 기사의 내용이 그들 자신의 이야기, 즉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인명, 지명, 상품 등에 대한 것이고, 우리의 교과서에서는 쉽게 접할 수 없는 표현방식과 어휘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반면 국내 영자신문에 등장하는 기사나 글은 바로 우리들 자신에 대한 이야기이고, 기교를 부리지 않은 기본에 충실한 표현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학생들이 이해하기에 더 쉽다. 이러한 배경지식의 문제는 읽기 이론에서 중요시되고 있다.

오준일(1999: 3-8)은 읽기를 기술하는 모형으로서 상향식(bottom-up)모형, 하향식(top-down)모형, 상호작용식(interactive)모형으로 나누고, 상향식 읽기 모형은 초보적인 독자나 활자에 의존하기 좋아하는 독자들의 읽기 과정을 설명하는데 적합하지만, 외국어로서의 영어 읽기를 배우는 대부분의 성인 학습자는 어린이들보다 폭 넓은 배경지식과 모국어 읽기 기술을 십분 동원하여 영어 읽기를 할 수 있다는 이유로 최근에는 상향식 읽기 모형보다 하향식 읽기 모형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고 Bernhardt(1986)의 견해를 인용하였다. 그러나 하향식 모형은 무엇보다도 생소한 단어나 문법이 많은 문서는 읽고 의미를 이해하기가 어렵다는 엄연한 사실을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순수하게 하향식 읽기 모형은 설득력을 읽게 되었고, 최근 대다수의 읽기 전문가들은 두 모형을 종합한 상호작용식 읽기 모형의 가능성을 인정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영자신문을 활용한다는 것은 다른 매체를 통하여 이미 알고 있는 정보를 배경지식으로 독해에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 하향식 읽기 모형에 해당한다고 하겠다. 물론 생소한 단어나 긴 문장이 기사에 자주 나오지만, 내국인이 쓴 칼럼이나, 국내·외 뉴스를 다루는 기사는 어려운 단어의 의미를 추측할 수 있고, 국내신문에 표기된 외래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학생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읽기 자료로도 충분하다. 따라서 기사의 선정이 중요하고, 너무 어려운 어휘나 표현은 읽기 전 활동에서 다룰 수도 있다.


3.2 영자 신문의 이해

영자신문이 영어 학습에 도움이 되지만 학생들에게 바로 신문 기사를 들이댈 수는 없는 문제이다. 수업현장에서 뿐만 아니라 학생 스스로가 흥미를 갖고 계속 읽어나가려면 제대로 된 영자신문 학습방법이 필요한 것이다. 수업 시간에 틈틈이 다음과 같은 기초 지식들을 병행해서 학습시킬 필요가 있다.


3.2.1 신문 영어

1) 표제(Headline)

① 'Be동사'는 생략된다: 생략된 'Be동사'는 통상 다음에 이어지는 Lead (기사의 첫 번째 단락으로서 기사의 개요를 쓴 머릿글, 전문:前文)에서

나타난다.

H) Clinton Likely to Speak at SNU

L) U.S. President Bill Clinton is likely to speak to students at SNU.

② 동사가 현재형일 경우 과거로 해석하라: 신문기사가 통상 전날 발생한 사건을 오늘 자 신문에 보도하기 때문에 그 내용은 사실상 과거의 사건 인것이다.

H) 2 NK Soldiers Defect Through DMZ

L) Two North Korean soldiers defected to the South yesterday morning.

③ 동사가 과거분사일 경우 수동태로 해석하라

H) 22.9 Million People Expected to Hit Road on Chusok Holiday

L) A total of 22.9 million people are expected to travel to their hometowns or to tourist sites during the four-day Chusok Holiday.

④ 'to 부정사'일 경우 미래로 해석하라

H) 4-Party Talks to Resume Oct. 21-25

L) The four-party peace talks will resume in Geneva Oct. 21-25.

⑤ 현재분사의 경우 진행의 의미로 해석하라

H) Number of Homeless Increasing in Seoul

L) The number of homeless in Seoul has been increasing.

⑥ 관사는 생략된다

H) U.S. Jobless Rate Falls to 5.6% in August (U.S.= the United States)

⑦ 약어가 자주 등장한다: 약어를 사용하면 문자수가 대폭 줄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약어는 자주 사용된다. 독자들이 잘 모를 것으로 예상되는 약어에 대해서는 본문 안에 완전한 철자를 써 주는 것이 보통 이다.

H) GNP(Grand National Party) Urges Speedy End to Bribery Probe


2) 기사·본문

① Lead의 주어가 기사의 초점이다

② 능동태 문장이 많다

③ 객관적인 인상은 수동태로 나타내기도 한다

④ 미래를 나타내기 위해 진행형을 사용한다

⑤ 도치가 자주 쓰인다

⑥ 접속사 that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⑦ 관계대명사가 생략된 경우도 있다

⑧ 문장을 간결히 하기 위해 동명사를 쓴다

⑨ 부정사 to be를 생략한다

⑩ 전치사를 생략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⑪ 인용구는 자주 쓰인다

⑫ 보충 설명에 'Dash(―)'를 사용한다

⑬ 사진 설명은 현재형으로 표현한다



3.2.2 영자신문 해독의 기본방향

1) 의미단위 찾기

사람은 글을 읽을 때 '의미단위'라는 것을 무의식중에 찾게 된다. 다음 우리말 문장을 보자.


"한국이 경제위기에 빠진 것은 비단 정치인의 실정이나 재계의 무책임한 경영 방식 때문이 아니라 온 국민이 거품 투성이의 한국 경제를 맹신하고 살아왔기 때문이 아닐까?"


우리말이니까 당연히 무슨 뜻인지 쉽게 감을 잡을 것이지만, 우리말을 공부하는 외국인이 위 문장을 해독하려면 어려울 것이다. 일상적으로 쓰지 않는 어려운 말도 있고 전문용어 같은 말도 있고, 또 문장이 길다. 하지만 우리는


① 단어에 얽매이지 않고,

② 문법을 따지지 않고,

③ 표현에 얽매이지 않고,

④ 문장을 거슬러 올라와 다시 해석하지 않으면서 이해한다.


결국은 의미단위를 이해하며 문장을 읽어간다. 이와 같이 모든 글은 의미단위의 연결이라고 할 수 있다.


2) 복잡한 문장 분해하기

어느 글을 읽건 "독해가 안 된다"는 말이 나오는 건 문장이 복잡하기 때문이다. 우리말과 영어의 차이는 이런 복잡한 문장을 만드는 방법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말은 삽입구가 거의 없고 대부분 형용사구나 부사구를 사용한다. 영어에서는 어떻게 될까? 길면 길수록 삽입절이나 구, 관계사로 처리한다.

예) 복잡한 영어로 된 말:

The sources told the AP news agency the deal, struck just hours before the start of a trial in which Botha is being prosecuted for snubbing a commission subpoena, came after a week of intensive behind the scenes negotiations.(The Korea Times, 1998. 6. 27.)


→ 간단하게 만든 영어로 된 말:

The deal came.

3) 의미 단위 분석

이처럼 길고 의미 단위가 마구 연결된 복잡한 문장이라도, 핵심을 중심으로 의미가 확장되는 것을 추적해 보면 어렵지 않게 분석해 볼 수 있다. 이렇게 파악한 의미를 다시 우리 글로 옮기는 것은 다듬기 작업에 불과 하다. 한가지 주의해야 할 것은 의미단위를 순차적으로 머리 속에 담아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 거꾸로 거슬러 올라가며 번역하기 과정을 피할 수 있다. 의미단위가 파악됐으면 그 즉시 이해를 하고 넘어가야지 뒤에 나오는 의미단위를 보고 다시 거슬러와서는 안 된다. 거슬러 올라가는 가장 큰 이유가 바로 '번역'을 하기 때문이다. 머리 속에서 이해를 하는 것이라면 전혀 그럴 필요가 없을 것이다. 다음 문장을 '번역'해 보자.


Wheat production is expected to diminish by three percent this year with 595 million tons grown worldwide, while a slight increase in the production of secondary cereals ― oats, corn, barley, rye, sorghum ― is expected.


금년 밀 생산은 전 세계적으로 5억 9500만 톤으로 3% 감소할 것으로 보이며, 귀리, 옥수수, 보리, 호밀, 수수와 같은 2차 곡물의 생산은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번역'을 해보면 당연히 거슬러 올라와야 하는데 우리말과 어순이 다르기 때문이다. '예상된다'는 의미단위가 영어에서는 가장 먼저 나오지만 우리말에서는 가장 뒤에 나온다. 하지만 머리 속에서는 다음과 같을 것이다.


금년에 밀이 생산된다

밀 생산에 변화가 예상된다

줄어든다(금년 밀 생산량이라는 의미단위 참조)

3% 줄어든다

올해 줄어든다

5억9천5백만 톤이 전세계에서 생산된다

이와 반대 경우가 있다

조금 증가한다

2차 곡물 생산량이 증가한다

2차 곡물에는 귀리, 옥수수, 보리, 호밀, 수수 등이 있다

이것이 예상된다


머리 속에서 이해하는 경우에는 바로 직독직해를 의미한다.


4) 반복 피하기

우리말과 달리 영어는 반복을 싫어한다. 우리말은 오히려 똑같은 뜻을 가진 서로 다른 단어나 표현을 자주 쓰면 어색해 보이지만, 영어는 그 반대이다. 그래서 흔히 범하는 실수 중 하나가 같은 의미를 갖는 여러 가지 표현을 서로 다르게 해석하거나 이해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연속된 다음 세 문장 중 문장 'b'에서 'the country'는 India를 뜻한다. '그 나라' 라고 번역하는 것은 어색하다.


a. India has developed a version that can be fired from a truck against surface targets and another which could be launched from an aircraft.

b. The country has yet to mass-produce Prithvi, which was first tested in February 1988.

c. It can carry either a conventional payload or a 500-kilogram (1,100 pound) nuclear warhead. (The Korea Times, 1998. 7. 11.)


3.3 영자 신문 활용의 실제

3.3.1 수업에서의 영자 신문 활용

앞에서 신문의 교재로서의 우수성과 신문 활용 교육의 필요성을 살펴보았고, 이어서 영자 신문을 해독하는 방법을 탐색해 보았다. 신문을 실제로 학습교재로 활용하고 교재로서의 우수성을 다음과 같이 Palmer와 Fletcher는 요약하고 있다.


Newspapers are interesting, concisely written, easily readable, and deal with issues related to everyday life.


여기서는, 왜 영자신문을 영어 수업 시간에 활용해야 하는가와, 구체적으로 어떻게 교실 상황에서 활용할 것인가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자.

물론 영자신문이외에도 수업에 활용될 수 있는 자료로서는 소설, 시, 드라마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자료들을 수업에 보조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은 실제적 언어 학습 자료로서의 공통적인 특성을 지니면서 독자적인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소설은 의사소통 언어 교수법(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의사 소통의 정황(context of situation)이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있고, 바로 이런 점에서 대부분의 소설은 매우 좋은 학습 자료라고 백종학(1999: 6)은 주장한다.

한편 어도선은 드라마 기법을 활용한 영어 교육에서 강조되는 드라마 프로젝트(The drama project)를 설명하면서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말은 실질적이고 능동적인 의사소통 과정에서 건진(picked up) '습득된' 체계에 의해 행해지게 된다. 언어사용의 능숙함은 이 '건지는' 과정이 얼마나 자주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가에 달려있는 것이다. 의사소통교수법이 지향하고 있으면서도 거의 성공하지 못하고 있는 의사소통과 의미에 대한 중점은 바로 자연스럽고 인위적으로 조장되지 않은 환경을 조성해 주는 드라마 프로젝트가 해 내고 있는 것이다.(1999: 15)


그는 이러한 드라마 테크닉을 영어 교육에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① 목표언어인 영어로 활동하면서 유의미하고 능숙한 상호활동능력을 습득한다.

② 완전히 문맥화 되어 있고 상호 활동적인 방법으로 영어의 운율적 특성과 모든 범주의 발음에 익숙해지게 된다.

③ 목표언어 학습에 자신감을 북돋아 준다.(1999: 15)


또한 그는 영미시를 수업에 활용할 때 얻을 수 있는 영어 교육적 이점을 시의 특성과 결부시켜 제시하고 있다.


① 길이가 짧아서 한 시간 영어 수업에 알맞은 분량의 자료이다.

② 학습자나 교사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삶과 유리되지 않은 주제와 소재를 담고 있다.

③ 그러한 주제를 느끼고 경험할 수 있게 해 줌으로써 언어적 향상뿐 아니라 인지적, 정의적 발전도 도모할 수 있다.

④ 학습자들에게 소리의 강약, 리듬과 음악성을 풍부하게 담고 있어서 일상 언어가 주기 힘든 영어에 대한 강력한 경험을 유발할 수 있다.

⑤ 창의적이고 자유로운 수업 분위기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된다.

⑥ 이런 우호적인 수업 환경은 영어를 습득할 때 생길 수 있는 저항감과 두려 움을 감소시켜서 많은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1999: 17)


그러면 신문은 어떠한가? "NIE가 어릴 때부터 읽는 습관을 형성할 수 있다"는 원론적인 주장보다는 더 직접적인 면에서 생각할 수 있다.

우선 신문은 우리 주변의 사건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자극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것은 바로 영어로의 의사 소통에 직접 활용할 수 있다. 송지연은 다음과 같이 우리의 외국어 학습법을 외국인이 우리말을 배우는 상황과 비교하여 지적한다.


우리는 영어를 배울 때, 말 자체보다는 문법적 기능에 지나치게 치중하는 반면, 미국인이나 영국인들은 한국어를 배울 때 일단 '가나다라'가 끝나면 그 다음은 막바로 냉장고를 무엇이라 하는지, 아프다고는 어떻게 하는지 등 실생활과 관련된 단어나 표현부터 배워 바로 활용하며 익히는 것이었다. (1998: preface)


예를 들면, 며칠 전 뉴스에 중국으로부터 때 이른 '황사현상이 있었다' 라는 보도가 있었다. '황사'를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한영 사전을 찾아보고, 'yellow sand' 임을 확인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영자신문을 펼쳐 보면 당장에 'yellow dust' 라는 표제를 보게 될 것이고 관련기사를 뉴스내용을 연상하면서 읽어보고 싶어질 것이다. 사전에서 찾은 용례는 실제상황에서 사용하기가 쉽지 않지만, 그 기사를 영어로 읽어 본 학생이 외국인과 만났다고 가정했을 때 짤막하나마 실제적인 의사 소통이 가능할 것이다.


3.3.2 읽기 자료 선정 기준

신문의 어느 면에서 읽기 자료를 선택하느냐는 교사가 상황에 따라 일방적으로 결정할 수도 있고,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할 수도 있겠으나 수업에 대한 준비를 위해서는 교사가 사전에 준비하는 것이 나을 것이다. 이 경우에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할 수 있다.


1) 학생들의 언어적 수준에 알맞은가?

2) 학생들의 관심사항을 반영하는가?

3) 동기를 유발할 수 있고 지속적으로 관심을 집중시킬 수 있는가?

4) 영어사용자들의 문화 및 사고방식을 알 수 있는가?

5) 교과내용과 관련이 있는 자료인가?

6) 학생들에게 유익한 내용인가?


이러한 기준으로 선정한 결과 여학생들은 특히 사회, 문화, 국제뉴스, 오피니언면에 관심을 보였다. 난이도 면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사회·문화에 대한 기사가 정치·경제에 관한 기사보다 이해가 쉽고, 국내의 독자, 칼럼니스트, 영어를 제2외국어로 익힌 외국인, 영·미인의 순서로 어려워졌다.


3.3.3 영자 신문 활용 방법

우리의 형편상 교과서를 완전히 도외시하고 다른 교재를 사용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논자는 수업중 시간 계획을 조정하여, 실험반에서는 정규 교과 35∼40분, 영자신문 10∼15분으로 활용했다. 결국 수업을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수밖에 없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규 교과를 다루기 위해 수업내용을 실물화상기용 자료로 제작했다. 글자의 크기가 제한된다는 단점도 있지만 자료 제작에 걸리는 시간이 OHP나 파워포인트에 비해 절약되고, 특히 사진 자료의 제시에 효과가 있었다. 교실에 실물화상기가 비치되어 있고 또 휴대가 간편해서 활용도를 높일 수 있었다. 이렇게 하면 읽기 자료에 포함된 어려운 어휘나 표현, 문제를 사전에 정리해서 제시할 수 있다. 3단 편집으로 자료를 작성했다.

수업에서 함께 사용할 적절한 기사나 사설을 준비한다. 자료제시는 실물 화상기를 활용하는 방법과 해당기사를 복사해서 배부하는 방법을 사용 했다. 교실에서 직접 인터넷을 통해 학생들이 희망하는 기사를 다룰 수도 있겠지만 사전 준비 없이는 교사에게 부담스러울 수 있고 검색하는데 시간이 소요된다. 교수·학습의 기본 유형은 설문지에서도 지적했듯이 기사를 읽고 해석하는 것보다는, 기사를 읽고 간단한 질문을 통해 내용이해도를 확인하는 방법을 택했다.

신문의 구성 요소를 활용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예를 들면, 학생들이 가장 좋아하는 만화를 제시하고 설명을 말하거나 써 보게 한다든지, 실제로 글을 읽고 1칸 또는 4칸짜리 만화를 그려보게 하는 방법, 사진을 제시하고 캡션이나 기사를 작성하게 하거나 긴 캡션을 짧게 바꾸게 하는 방법, T.V. 프로그램을 우리말 제목으로 바꾸게 하는 방법, 일기 예보도를 보고 특정 사실을 묻는 방법, 각종 사건·사고에 대한 기사를 읽고 느낀 점을 말하거나 써 보게 하는 방법, 어떤 주제에 대하여 찬반 양론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 주장을 토론하고 발표하게 하는 등 여러 가지가 있을 것이다. 상황에 따라서 활동 방법이 결정되겠지만, 고등학교 3학년의 경우 토론이나 쓰기와 같은 활동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피하고, 단순히 신문에서 읽기 자료를 발췌하여 수업 시간에 활용하는 방법을 택했다. 이를 위해


1) 요지, 주제, 필요한 정보 찾기 등과 같은 문제를 실물화상기용 자료 로 미리 준비했다.

2) 기사에서 어려운 어휘나 표현은 읽기 전에 간단한 설명을 해 준다.

3) 신문 사진과 캡션을 이용한 영어로 말하기와 영어로 생각하기

4) 광고를 빨리 읽고 필요한 정보 찾아내기


〈표 1〉광고의 예 (The Korea Times, 1999. 6. 3)

DO YOU HAVE a motorcycle (400cc or more)? Do you like cam-ping or staying in Hostels? I am looking for touring partners. Call Yahni (019-227-9607)
Korean female, 23, looking for Japanese native speaker for cultural and language exchange plus friend-ship. Korean speaking Japanese preferred (telletoby@hotmail.

com)
Chongpa-dong: between

Sookmyong Univ. and Seoul Station, mini 1 room studios, furnished, 230,000-

260,000 won (02-706-0180)

Itaewon ― Great apartment to share with one other foreigner. Air con,. close to Samgakchi, all home

furnishings except for

second room, good size, and

quiet location. 350,000 won a month. Call (012-1360-8940)
Alcoholics Anonymous: If

you want to drink, that's your business. If you want to stop,

that's our business.

Call (02)774-3797
NICE NATURED,

26 years old Korean woman looking for female or male friend for friendship. (ngalaxy @ hanmail.net)

Part time job for 2 females students in Changanpyong. Needs skill in Internet, Korean and English languages.

(02-2244-1377)
US real estate firm is seeking a Western female for receptionist/ secretary. Must possess professional appearance and computer literacy (Minimum MS Office). Experience and Korean language are helpful but not required. Fax rexume (02-564-6775) or

call (011-9779-6801)
ESL Teaching Books for sale. Mint condition. Games, activities, topics of discussion for conversation classes. At least 50 Pct. off the cover price. Call Peter at 02-398-3452

.

.

.
.

.

.
.

.

.


① If you want to stop drinking, what number can you call?

② What kinds of people is Yahni looking for?

③ Somebody is looking for Japanese native speaker. For what?

④ Which costs more ― an Apt. in Itaewon with a foreigner or an 1 room studios in Chongpa-dong?

⑤ What are the qualifications for the part time job in Changanpyong?

⑥ You are a Western female who has professional look and computer literacy. For what can you apply?

⑦ If Peter paid 100,000 won for the books, at what price can you buy them?

⑧ A man is looking for a job. How old is he?

⑨ What is 26-aged Korean woman looking for?

⑩ Who want friendship?


3.3.4 영자 신문 활용의 효과

한 학기 동안 신문 기사를 읽고 난 뒤, 앞의 예에서와 같이 질문·응답 활동을 주로 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점에 있어서 바람직한 변화를 보였다. 결정적으로 학교에서 실시한 정기 고사에서 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에 별도의 설문지 조사는 하지 않고 구두로 질문해서 지난해와 유사한 반응을 얻을 수 있었다.

〈표 2〉'98학년도 정기 고사 성적 비교

고사

학급
1학기중간 (평균67.9)
1학기기말 (평균72.4)
2학기 중간(평균68.4)

3-1
66.8
-1.1
70.2
-2.2
65.3
-3.1

3-2
66.0
-1.9
67.1
-5.3
64.5
-3.9

3-3
68.5
+0.6
73.4
+1.0
70.9
+2.5

3-4
71.7
+3.8
73.1
+0.7
68.7
+0.3

3-5
68.6
+0.7
75.5
+3.1
68.7
+0.3

3-6
68.3
+0.4
74.9
+2.5
72.5
+4.1

3-7
65.9
-2.0
73.7
+1.3
69.4
+1.0

3-8
67.9
0
71.8
-0.4
67.4
-1.0



주. 가감은 전체 평균 대비임

〈표 3〉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실험반(3-6)의 평균이 꾸준히 상승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상되는 변수로서는, 실험반 담임이기 때문에 영어 과목에 치중했을 수도 있으나, 같은 교과 담임반(3-8)의 성적과 비교하면 그런 점은 설득력이 크지 않다. 하지만 문제를 신문 기사에서 출제하지는 않았지만, 다른 비교 학급보다 과외로 읽기 자료를 같은 시간량에 상대적으로 더 많이 다루었을 뿐 아니라, 문제도 더 많이 풀었기 때문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이것은 전체 학급에 신문 활용 교육을 실시하고 다른 학교와의 비교를 통해서 검증될 수 있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으나 구체적인 방법이 미비해서 교내 비교에 그쳤다.

한가지 더 고무적인 효과는 사실, 학생들은 영문 기사를 읽으면서 흥미를 느끼면서도 한편으로는 정규 교과에 포함되지 않으니까 집중도가 떨어지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최근 실시된 듣기평가와 모의고사에서 신문기사가 전문 그대로, 아니면 쉬운 어휘로 바뀌어서 출제된 것을 보고 많은 학생들의 관심을 드높이게 되었다. 다음의 예를 보자.

Outbound Korean Tourists Down by 88 Pct. in January

-'98. 3. 11, The Korea Times, City-

The number of Korean who left the country for tourism purposes plummeted by a whopping 88 percent in January, compared with the same month last year. …

'98학년도 제2회 영어듣기 능력평가 -'98. 6. 27 시행-

17번 문항: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① 해외 유학생 감소

② 외국인 관광객 감소

③ 해외 관광객 감소

④ 국제 수지 감소

⑤ 주가 하락


Clothes Don't Make the Child

-'98. 4. The Korea Times, Op-Ed(The New York Times)-

The New York City Board of Education made a big mistake when it voted this week to order all students in city elementary schools to wear uniforms starting in 1999. The board shouldn't be making these decisions; the individual schools should, as they have been doing already. …


'98학년도 3학년 J 모의고사 -'98. 8. 28 시행-

46번 문항: 다음 글 바로 뒤에 올 수 있는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교복 착용의 폐해

② 인간 교육의 중요성

③ 불량 학생들의 선도

④ 학교의 자체 결정에 따른 문제점

⑤ 학생들의 성적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


이상은 본인이 수업에 활용하기 위해 국내에서 발간되는 한 영자 신문에서 발췌한 것으로서 이중 한 문제는 실제 수업에서 다루었던 지문이다. 국내외의 다른 영자 신문을 인터넷에서 검색하면 수많은 자료를 다룰 수 있다. 교사의 이러한 노력은 더욱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자료를 준비하여 학생들에게 흥미와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고, 불필요한 부담을 지운다는 생각을 떨칠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Ⅳ. 결론


본 연구에서 야후사전과 영자신문을 활용한 영어 독해 능력증진 방법을 살펴보았다. 우리 나라 영어교육 현실은, 특히 대학수학능력 시험에 대비하는 고등학교 상급학년 학생들에게는 영어교육의 네 기능을 골고루 기르기가 힘든 실정이다. 그렇다면 읽기 기능을 신장시키는 것이 대부분의 학습자에게 당장 필요하고 현실성이 있다는 도구적인 동기에서뿐만 아니라, 소리내어서 읽을 때 듣기가 더 용이해지고, 이러한 풍부한 입력을 바탕으로 장차 말하기, 쓰기의 기능도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읽기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읽기가 필요하고 중요하다고 해서 닥치는 대로 읽기 자료를 부과할 수는 없다. 그래서 교과서나 부교재에 읽기 자료를 의존하지만 우리의 교과서가 제작되어서 사용되는 데는 최소한 1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되므로 학생들의 다양한 흥미나 관심을 반영할 수 없다. 따라서 매일 발행되는 영자신문은 좋은 읽기 학습자료라고 하겠다. 물론, 체계적인 교수요목에 의해서 집필된 교과서와는 달리, 신문기사는 비체계적―비순차적이어서 수업에 주교재로 활용하기는 어려워도 보조교재로서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가치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첫째, 진정성있는 읽기 자료이다.

둘째, 국내신문이나 T.V.를 통해 알고 있는 기사는 배경지식이 되어 이해 가 쉽다.

셋째, 언어적 지식과 영어사용자들의 문화나 사고방식을 알 수 있다.


영자신문을 수업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교재의 선정이 가장 중요하다. 학생들의 흥미, 언어적 수준, 내용의 적절성, 교재와의 관련성, 분량 등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신문영어를 사전에 다루어서 가독성을 높이고, 읽기 후 활동자료도 준비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이 교사에게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지만, 학생들의 호응을 기대할 수 있고, 수업 기자재를 활용하면 어려운 것만은 아니다. 학생의 입장에서 기존의 교과서 외에 읽기 자료가 더해져서 부담스러운 점은 있지만, 표제나 사진 설명을 읽는 것을 시작으로 교사의 자료선정에 따라 효과를 기할 수 있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수행평가와 수준별 수업 등, 현장에서 적절하게 활용방안을 모색할 수 있고, 동시에 신문을 자료로 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야후영어사전과 개발한다면 읽기뿐만 아니라 다른 영역에도 적용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참 고 문 헌


권용수. "고등학교 영어 독해력 향상방안." 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김병길. "21세기 교육과 신문의 역할." 「경남신문 교육면 한돌 기념 세미나 자료 집」, 2006

김상원. "제7차 영어과 교육과정 개요."「전공영어」, 서울: 박문각, 2006

김용권·William Burns. "신문 영어."「프라임 한영사전」, 제2판. 서울: 동아출판 사, 2006

김훈순. "신문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청소년과 인쇄매체」, (연구서 25권). 서울: 한국 언론 연구원, 2006

백종학. "소설: 영어 학습 자료로 왜 좋은가?"「바른영어교육」, Vol. 18, 서울: 맨투맨, 2006

송지연. 「영자신문 거덜내기!」. 서울: 신나라, 2006

어도선. "드라마와 영미시를 활용한 영어교육." 「바른영어교육」, Vol. 18, 서울: 맨투맨, 2006

염규을. "영어독서의 선험지식구조 이론과 적용." 「영어교수·학습방법론」, 서울: 한국문화사, 2006

오준일. "읽기 지도의 실제." 「영어교수·학습방법론」, 서울: 한국문화사, 2006

이길성. "정보자원으로서의 인터넷 활용 학습지도방안." 「경남중등영어 교육 연구회지」, 제6호, 경상남도 교육연구원, 2006

최상희. "사회과 교육에서의 신문활용방안."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최선열. "미국의 NIE운동." 「신문과 방송」, 2006

하광호. 「영어의 바다에 빠뜨려라」. 서울: 에디터, 2006

허병두. 「신문 활용 교육이란 무엇인가 ― NIE의 이해와 실제」. 서울: 중앙 M&B, 2006

홍성호. "신문은 현장교과서." 「중앙일보」, 2005. 8. 25.

황지현. "실업계 고등학교 영어 독해 지도를 위한 신교재 구성." 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신문, 살아있는 교과서 ― 입문편." 「중앙일보사」, 2006

Brown, H. Douglas. Teaching by Principles. New Jersey: Prentice Hall Regents, 2005.

. Principles of Language and Teaching. New Jersey: Prentice Hall Regents, 2005

Harmer, Jeremy. The Practice of English Language Teaching. New York: Longman Publishing, 2005

Hemphill, Clara. "Clothes Don't Make the Child," The New York Times, 10 April 2006

Littlewood, William T. Foreign and Second Language Learning.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ublishing, 2006

Richards, J. C. and Rodgers, T. S. Approaches and Methods in Language Teaching.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ublishing, 2006

Song Ji-yeon. Comprehension Boost for English Newspaper in Just Two hours! Seoul: Shinara Publishing Co., 2006

Steen, J, Vincens and Landsforbund N. A. World Survey on Newspaper in Education(NIE) Programs : FIEJ, 2006

"Conquer English Through English Newspapers!" The Korea Times, 2 December 1998 ∼13 January 2006

"KT English Clinic," The Korea Times, 23 May ∼ 1 August 2005

"Outbound Korean Tourists Down by 88 Pct. in January," The Korea Times, 11 March 2006

"Times Marketplace," The Korea Times, 3 June 2006